수술 후 주의사항

식이 진행

- 의료진의 안내가 있을 때까지 금식을 유지하며, 음수 -> 미음 -> 식이 진행의 과정을 의료진에 안내에 따라 진행합니다.
- 수술 후 멸균식이를 해야 하므로 외부음식은 먹지 않도록 합니다.


통증 조절

- 자가조절진통(무통주사)는 호흡/보행 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회복을 돕고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 자가조절진통제는 일정한 양이 자동으로 투여되며, 통증이 증가할 때 15분마다 추가로 누를 수 있습니다.
- 통증이 지속되며,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면,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다른 진통제의 추가 투여가 가능합니다.


운동은 수술 후 의료진에 안내에 따라 걷기 운동을 진행합니다.

수술 후 폐합병증 (폐렴, 무기폐 등) 예방을 위해 수술 전 연습했던 심호흡과 기침, 호흡운동기구를 자주 시행합니다.

배액관

- 배액관은 복강 내 수술부위에 분비물이나 혈액 등이 고이지 않도록 배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배액관을 상의, 복대에 안전하게 고정하고 배액관 줄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합니다.
- 배액양상에 따라 보통 수술 1-2주 후에 제거하게 됩니다.


소변줄과 배뇨

-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한 방광의 과다한 팽창을 예방하고, 정확한 소변량 측정을 위해 유지합니다.
- 소변 주머니는 항상 몸보다 낮게 유지하며 당겨지지 않도록 합니다.
- 소변줄은 담당의사의 판단에 따라 보통 수술 1주 후에 제거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