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의 종류

생체 신장이식

- 직계가족, 부부간, 4촌이내의 친척 및 순수기증자를 통한 신장이식
- 심한 고혈압, 당뇨, 신장질환, 주요세균에 의한 감염, 악성종양(암)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기증자에서 제외
- 수혜자와 기증자간 조직형이 적합하고, 조직 적합성 교차반응 검사에서 거부반응이 없는 경우

뇌사자 신장이식

- 주변에 신장 기증자가 없는 경우
- 이식 전 준비를 위한 검사 시행 후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대기자 등록
- 정기적인 병원 방문으로 건강상태 확인과 채혈 시행
- 뇌사자 발생 시 규정에 따라 신장이식 수혜자 선정 후 수술 시행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 주변에 신장 기증자가 없는 경우
- 혈액형 불일치란 혈액형이 달라서 생기는 이식 불능 상태를 말합니다.
과거에는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이 불가능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리툭시맵 (Rituximab) 주사와 혈장교환술 등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이 가능하게 되었고,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신장이식센터에서는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을 성공적인 전략과 치료계획을 수립해 나가고 있습니다.


- 생체이식 신장이식의 경우 혈액형이 불일치 하더라도 사전준비를 통하여 신장이식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