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은 노폐물 제거 뿐만 아니라 수분, 전해질, 산-염기 상태를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신장에 병이 생겨 그 기능을 잃게 되면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신부전이 됩니다.
신대체요법에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이상적이고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여주는 치료법은 신장이식입니다. 신장이식은 공여자의 건강한 신장을 수혜자에게 이식하는 수술입니다. 신장이식을 통해 신체활동, 식이요법 등 일상생활에서의 제약이 매우 감소하고 사회 생활로 복귀할 수 있게 됩니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은 1984년 이후 안전하고 성공적인 신장이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로 일반적 신장이식은 물론 혈액형불일치, 감작 환자 등 고위험군의 신장이식도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여러 말기신부전 환우들에게 새로운 삶을 열어드리고 있습니다.
신대체요법을 요하는 말기신부전 환자 중 이식의 금기가 없는 경우 신장이식의 대상이 됩니다. 이식의 금기로는 치료가 곤란한 전신 질환 또는 정신 질환, 치료가 되지 않은 감염 및 악성 종양, 약물 중독 등입니다. 암의 경우에는 근치수술 후 2년 또는 5년 이후까지 재발의 징후가 없으면 이식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