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가슴 속 시한폭탄 '대동맥류',
수술 없이 스텐트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헬스 톡톡] 허균 순천향대부천병원 흉부심장혈관외과 교수
흉부 대동맥류, 특이 증상 없어/ 고혈압·당뇨병 환자 고위험군/2~3년 주기로 흉부 CT 확인을
인조혈관 수술, 가슴 열어 환자 부담 커/ 스텐트 삽입술은 20~30분 만에 완료/ 혈압 관리·정기적 추적관찰 필수
우리 몸의 엔진 '심장'이 피를 내보낼 때 가장 먼저 대동맥을 통과한다. 전신으로 피가 흘러나가 혈관의 '고속도로'라 부를 수 있는 대동맥은 평생에 걸쳐 심장의 압박을 받는다.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혈관이 탄력을 잃고 손상될 수 있다. 심장의 날(9월 29일)을 맞아 가슴 쪽 대동맥이 혹처럼 늘어나는 '흉부 대동맥류'에 대해 알아보자.
순천향대부천병원 심장외과 허균 교수는 "심장과 가장 가까운 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피가 맨 먼저 닿아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도 가장 세다"며 "대동맥에서 뻗어 나가는 혈관들은 중요한 부위로 혈액을 공급하는 만큼 파열되면 매우 치명적이다"고 말했다. 질병을 치료하지 않고 내버려두면 대동맥이 터지면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흉부 대동맥류 파열이 발생한 환자는 약 41%만이 살아서 병원에 도착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대동맥류 10명 중 7명이 '고혈압'
대동맥류는 동맥이 딱딱하게 굳은 '동맥경화'나 혈액이 끈적한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으면 더 취약해진다. 특히 '고혈압'이 위험한데, 대동맥류 환자 10명 중 7명은 고혈압 환자다. 높은 혈압으로 인해 동맥벽이 확장되면 벽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혈관이 얇아지면서 대동맥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2019년 대동맥류 환자는 1만9869명으로, 이중 남성이 61%(1만2298명)를 차지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른 심혈관질환처럼 나이가 들면서 유병률이 높아지는데, 65세 이상 고령층 환자 비율이 전체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다.
흉부 대동맥류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일반적으로는 혈관이 터지기 직전까지 알아차리기 힘들다. 그래도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쇳소리'가 있다. 허균 교수는 "쇳소리는 늘어난 흉부 대동맥이 성대 신경을 건드려 '쉰 소리'가 난다"며 "증상이 없는 만큼 다른 검진을 받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고혈압, 당뇨병 환자라면 흉부 CT를 2~3년 주기로 찍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부담 큰 수술보다 시술 우선적으로 고려
흉부 대동맥류를 치료할 때는 가능하다면 시술을 고려한다. 가슴을 열어 혈관을 인조혈관으로 바꾸는 수술적인 방법은 절개 부위도 크고 수술 시간도 길어 환자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허균 교수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흉부 대동맥류가 발생했다면 수술해야 한다"며 "특정 부위가 아닌 대동맥 전반에 퍼져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시술적인 방법으로는 대동맥 안에 관을 집어넣는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이 있다. 국소마취 후 대퇴동맥에 유도관을 삽입해 알맞은 크기의 스텐트를 안전하게 놓는다. 이후 알맞은 위치에 펼친 다음, 혈관벽에 잘 밀착되도록 풍선으로 다지고, 혈류가 새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대퇴동맥을 지혈, 봉합하면 시술이 완료된다.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의 가장 큰 장점은 최소절개만으로 혈관을 치료하기 때문에 시술 시간 및 회복 기간이 매우 짧다. 허균 교수는 "수술은 최소 6시간이 걸리지만 시술은 20~30분이면 완료된다"고 말했다.
스텐트 삽입술은 문제가 되는 대동맥류를 제거하지 않았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시술 직후 3개월, 6개월, 1년 시점에 검사하고 어느 정도 자리 잡았다고 판단되면 1~2년을 주기로 검사한다. 허균 교수는 "최근에 나온 스텐트 그라프트는 도관 직경이 동양인 평균 혈관에 맞게 얇아져 시술이 불가능했던 환자도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스텐트 삽입술은 들어간 스텐트가 혈관과 안정적으로 밀착돼 있는 게 중요하다. 최신 스텐트는 끝 부위가 인조혈관 안으로 들어오도록 구성돼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설계됐다. 이같은 디자인의 변화는 혈류 누출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대동맥류 파열 위험성을 줄인다.
◇ 대동맥류 예방하려면 '혈압' 잡아야
대동맥류는 결국 혈압으로 인한 혈관변화가 원인인 만큼 혈압을 잡아야 한다.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것과 함께 추적관찰을 병행해야 한다. 허균 교수는 "대동맥류는 보통 증상이 없고 일상에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정기검진을 받지 않는 환자가 많다"며 "스텐트 그라프트 시술을 받은 사람은 아주 적은 확률이라도 언제든 재발 가능성이 있어 1~2년마다 정기 검진은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은 장점이 많지만, 보험 급여 기준의 장벽 때문에 치료를 못 받는 환자가 많다. 보험 급여 기준이 혈관이 터질 위험이 급격히 커지는 '5.5㎝ 이상'부터인데, 한국인의 흉부 대동맥 굵기가 평균 3~4㎝임을 고려하면 제한적이다. 허균 교수는 "파열 전까지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탓에 미루거나 거부하는 환자가 있는데, 의료진이 치료를 권할 때는 위험한 상황인 만큼 증상이 없더라도 꼭 치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전 코로나와 증상 비슷한 독감... 우리 아이 ‘독감 예방접종’ 주의사항은? 2020.09.16
다음 고혈압 중년 여성이 눈 떨린다면 ‘반측 안면경련’ 의심해봐야!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